네트워크 3계층.
서적
: ‘하루 3분 네트워크 교실’을 읽고 이해한 내용 정리
Network Study - 05. 😃
19. 3계층의 역할과 개요
복습 📚
- 1계층 : 케이블이 연결된 상대에 대한 신호 전달.
- 2계층 : 신호 송수신 가능한 상태에서 세그먼트 내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주고받음.
세그먼트❓ : 라우터와 라우터 간의 범위.
- 3계층 : 세그먼트 간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것.
- 네트워크 : 좁은 의미의 네트워크는 라우터와 라우터로 분배된 컴퓨터 그룹.
- 네트워크(좁은 의미) 내에 컴퓨터는 2계층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.
- 이때 라우터를 넘어서는 브로드캐스트는 송신되지 않는다.
- 그래서 네트워크 간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인터넷 작업(Internetwork)을 한다.
정리 📚: 3계층은 인터넷 작업을 수행하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컴퓨터끼리 통신이 가능하다.
20. 인터넷 프로토콜
- 3계층의 인터넷 작업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어드레싱과 라우팅이다.
- 어드레싱 : 2계층 이더넷 - MAC 주소(물리 주소) · 3계층 - IP 주소(논리 주소).
- 라우팅 : 수신처까지 어떤 경로로 갈지를 결정.
- 이 두 가지 어드레싱과 라우팅으로 인터넷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IP(Internet Protocol)이다.
- 인터넷 프로토콜(IP) : TCP/IP에서는 반드시 IP를 사용한다(IPv4, IPv6).
21. IP 주소 1
IP 주소 : 논리 주소로서 계층형 특징을 가지며 네트워크 관리자가 컴퓨터에 할당한다.
- 논리 주소 :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마다 붙이는 주소(고정 주소가 아님).
- 논리 주소에도 유니캐스트·멀티캐스트·브로드캐스트 3종류의 주소가 있다.
- 네트워크 번호는 접속된 모든 네트워크에서 유일해야 하고, 컴퓨터 번호는 그 네트워크 내에서 유일해야 한다.
- IPv4는 32bit를 가지며 IPv6는 128bit이다.
- 8bit마다 10진수로 표기하고 8bit 사이에 점을 찍는다.
- 이 8bit의 단락을 옥텟(Octet)이라고 한다.
- 이 4개의 옥텟, 32bit가 네트워크 번호의 컴퓨터 번호를 나타낸다.
22. IP 주소 2
클래스 : 할당된 조직의 규모에 따라 대출 IP 범위(네트워크 번호, 컴퓨터 번호)를 정하는 것.
23. 서브네팅
-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(서브넷 or 서브네트워크)으로 나눈다.
- 호스트 번호의 비트를 서브넷 번호와 호스트 번호로 분할한다.
- 서브네팅 : 네트워크에서 서브넷화하는 것.
- 서브넷의 숫자를 크게 하면 각 서브넷의 호스트 수는 감소하게 된다.
- 서브네트워크를 사용할 경우 IP 주소는 네트워크 번호, 서브넷 번호, 호스트 번호가 된다.
- 서브넷마스크 : 비트열을 IP 주소와 동시에 표기하여 어디까지가 서브넷 번호인지를 구분한다.
- 네트워크 번호, 서브넷 번호의 비트 수를 나타내기 위해 서브넷마스크를 사용한다.
👋